광주광역시

뷰티산업 전담기관 설립 및 운영
추진배경
  • 뷰티산업 진흥과 관련된 중앙정부의 정책변화 및 급성장하는 뷰티산업을 선점하기 위해 정책적 육성 필요
  • 기존 뷰티산업의 영역을 넘어 광산업, ICT 등 신성장 산업 간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종합 컨트롤타워 구축 필요
주요내용
  • 뷰티산업 발전 종합계획 수립 및 뷰티산업 연관 기관 간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뷰티산업 체계를 구축하는데 선도적 ·중추적 역할 수행
  • 뷰티 기반산업(제조업, 서비스업)과 지역산업(광산업, 의료산업 등) 간 융·복합화 지원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및 뷰티산업 종사자 전문인력 양성 등 지역 내 일자리 창출
기대효과
  • 지역 내 뷰티산업 역량 집중을 통한 광주만의 차별화된 뷰티산업 정책 개발 및 브랜드화(가칭 광주형 뷰티산업) 추진
  • 뷰티산업의 통합적 관리에 따라 뷰티산업 발전 계획의 체계적인 사업 진행을 통한 시너지 효과 발생 및 창구 일원화에 따른 민원 만족도 제고
뷰티 통합 전문교육센터 구축
추진배경
  • 영세 뷰티업소의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훈련기관 구축과 신성장 산업과의 융합을 촉진하기 위한 융합 전문인력 양성 필요
  • 지역 내 뷰티교육 주체들 간의 연계 협력을 위해 단위별 교육기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교육 주체 간 네트워크 구축 및 지원 필요
주요내용
  • 지역의 특화된 뷰티서비스 프로그램 개발·교육을 통해 광주 뷰티명장 양성, 마케팅 및 홍보전략 등 경영기법 교육을 통한 경쟁력 강화
  • 최신 뷰티 기법 교육과 정보 제공 등을 통한 뷰티산업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과정 개발 및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지역 내 뷰티 종사자, 미취업자에 대한 맞춤형 교육과정 제공 및 취업 연계 지원
  • 뷰티산업과 광산업, 의료, ICT산업 간 융복합화를 위한 R&D 지원을 통해 우수 콘텐츠 개발·보급과 융합 전문인력 양성 교육 진행
기대효과
  • 맞춤형 컨설팅 제공 및 직원 교육비용 부담 절감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및 우수 뷰티인력의 적재적소 취업 연계를 통한 뷰티업소 활성화
  • 뷰티산업 융합 전문가 활용을 통한 체계적, 전략적 산업 간 융합 및 시너지 효과 제고
  • 국내외 뷰티 교육생 유입 및 뷰티산업의 선도 도시 구축
광주 뷰티산업 거버넌스 활성화
추진배경
  • 기존의 분절된 뷰티산업에서 벗어나 산업간 연계를 통한 새로운 시장을 효과적으로 개척 및 선점하기 위하여 민·관·산·학의 다양한 의견과 역량의 집중 필요
주요내용
  • 우리시, 뷰티 전공개설 대학(학원), 뷰티 협의회, 기업, 뷰티 소비자 대표 등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뷰티산업 현안과제에 대한 의견수렴 및 대응방안 논의
기대효과
  • 뷰티산업 전담기구와 연계·협력하여 종합적 검토를 통한 정책방향 결정 및 소비자 대표를 참여시켜 보다 객관적인 평가, 다양한 의견 수렴 창구 확보
  • 참여자들 간 자원, 정보 공유를 통한 이해관계자 간 의견 조정, 효과적인 뷰티산업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및 사업 진행
광산업과 연계한 뷰티제품 개발
추진배경
  • 뷰티 화장품산업은 금형, 디자인, 광의료기기 등 지역 내 유관산업연계 융복합화를 통해 차별성 확보 및 고부가가치화로 지역경제 활성화 가능
  • 뷰티기기는 LED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및 초음파 등과 연계를 통해 다양한 제품시장이 화장품 산업과 함께 성장중
  • 지역 내 의료관련 기업(367개사), 광관련 기업(270개사) 등과 연계한 화장품과 뷰티기기 관련 산업 육성지원 필요
주요내용
  • 뷰티제품 양산 및 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개발 등 사업화 지원
    - 제품 국내·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 지원
    - 의료, 광산업 등 지역 네트워크를 활용한 제품 애로기술 및 고도화 지원

  • 지역산업연계 융복합 마케팅 추진
    - 의료-광-화장품산업 연계 해외시장 개척 등 글로벌 마케팅 지원
    - 해외수출주도형제품 전시회 기업 참가 지원을 통한 우수 제품/기술 홍보 및 해외바이어 판로 개척
기대효과
  • 광-의료-뷰티 연계를 통한 융복합 신산업 육성으로 화장품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지역산업 활성화
수출주도형 의료뷰티산업 육성사업(지역연고산업육성)
사업개요
  • 사업내용 : 협력네트워크/제품 고도화, 인허가 지원, 마케팅 등
기대효과
  • 지역 소재 제조업 및 종사자 증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

    - (제조업 육성) 지역 소재 제조기업 매출증대에 따른 지역 제조업 및 종사자의 양적 증가로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

    · 기업집적 : 141개사(’18) → 170개사(’21) → 200개사(’23)

    · 총매출액 : 450억원(’18) → 900억원(’21) → 1,500억원(’23)

    - (고용 창출) 청년창업 및 소외계층 고용확대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

    · 신규고용 : 120명(’20) → 500명(’22)

피부의학을 결합한 신개념 코스메디케어 산업 육성
추진배경
  • 고기능성 화장품산업 세계시장은 35조 규모로 매년 15%씩 성장, 인구 고령화로 럭셔리 안티에이징 화장품 수요 증가 및「화장품법」개정(’17.5.)에 따른 기능성화장품 품목 확대로 더욱 가파른 시장 성장 예상
    * 3개(미백, 주름개선, 자외선차단)→10개(아토피, 탈모, 염색, 탈색, 제모, 여드름, 튼살개선 추가)
  • 병원 주도의 피부의학을 결합한 신개념 코스메디케어 관련기업 집적화 및 고도화로 수출주도형 고부가가치 신산업 창출 시급
주요내용
  • (제품 유효성 및 임상시스템 구축 / 병원)
    - 테스트베드 구축(장비, 시설), 유효성 평가, 임상시스템 구축, 고기능성 화장품 개발시스템 구축
  •  (제품 시생산 테스트베드 구축 / 지원기관)
    - 공동생산 CGMP 시설구축, 제품 제조기반 구축, 기업집적화
  •  (제품 시니어 사용적합성 실증 / 실증기관)
    - 시니어 사용적합성 실증기반 구축, 사용성평가, 제품홍보, DB구축
기대효과
  • 고부가가치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시장선도에 따른 화장품산업 경쟁력 제고 및 지역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육성
  • 코스메디케어 제품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임상마케팅 활성화 및 의료산업 연계 융복합 신산업 창출